-
AWS 개념Programming/BackEnd 2020. 4. 22. 11:47
AWS(아마존 웹 서비스, Amazon Web Services)
자체적으로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를 보관할 물리적 공간과 네트워크 전력, 온도와 습도 유지 등을 위한 인프라를 갖춰야하고 관리도 해야 합니다. 즉, 매우 큰 비용과 시간이 요구될 것입니다.
하지만 클라우드 환경이 갖춰지면서 AWS와 같은 플랫폼을 이용하면 위와 같은 번거로운 일들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사양의 가상머신을 원하는 순간에 필요한 시간만큼 운영할 수 있습니다.
초기에 큰 액수의 계약을 한다거나, 내게 필요한 사양의 서버를 사서 갖다 넣는다거나 하는 일은 오래전 일이 돼버렸습니다. 즉, 아마존이 서버를 이미 만들어 놨으니 이를 임대해서 쓰고, 필요없으면 반납하면 됩니다.
내 서버를 내 자가용이라고 비유한다면, 그 이후 있었던 서버 임대 서비스가 렌터카 서비스이고, 클라우드 환경은 쏘카 같은 시스템이라고 생각해도 될 것 같습니다.
그보다 더 편리한 격차가 크기는 한데, 개념적으로는 크게 다르지 않을 것 같습니다. 아무튼, 지금은 서버를 산다거나 데이터센터나 호스팅 업체에 계약을 할 필요는 없고, AWS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필요에 맞게 쓰면 됩니다.
경쟁 서비스로는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이나 마이크로 소프트 애저가 있습니다만, AWS가 넘사벽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저렴한 가격에 장비를 빌리고 다른 호스팅 업체를 이용하여 저렴하게 운용할 수 있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을 수 있지만, 커피 한 두잔 값 차이에, 불필요한 시간을 낭비하지 않아도 되니, 우리의 가장 소중한 자원인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면, 충분히 지불할 만한 가격 차이입니다.게다가, AWS의 RDS처럼 데이터베이스를 편리하게 운영해주고 백업과 복구도 대신해주는 시스템이 있어서 편리함을 넘어서서 무섭기까지 합니다. 다만, AWS는 워낙 방대한 서비스이기에 조금 시간을 들여 공부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기초 서적 한 두권 골라서 여유롭게 차근히 보시고 접근하시면 좋지 않을까 합니다. 일단은 EC2, RDS, S3정도만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자료
개알못인 당신이 웹개발을 시작한다면 (5)
개발을 알지 못하는 당신이 웹 개발을 시작한다면, 이런 것들을 주축으로 공부하시면 좋을 것 같다는 안내문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medium.com
'Programming > Back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트포워딩(PortFowarding)이란? (0) 2020.04.25 HTTP 프로토콜의 이해 (0) 2020.04.25 1. 클라이언트 - 서버 구조의 이해 (0) 2020.04.25 서버 개발 프레임워크 (0) 2020.04.22 API, Library, Module, Framework 란? (0) 2020.04.22